쾌적한 어항! 역동하는 어장! 활력있는 어촌!
안전하고 친환경 수산업기반을 선도하는 어업인의 파트너
FIPA 한국어촌어항공단
바로가기 메뉴
FIPA 한국어촌어항공단
바다 위 양식산업 사진
법적근거
수산자원관리법 제41조(수산자원조성사업), 제61조(수산자원의 조성 및 회복을 위한 사업 등의 위탁)
사업기간
매년 1월 ~ 12월
사업부서
어장산업팀
연근해 수산자원의 산란·서식장의 유실·침적된 어구 수거를 통한 수산자원 생산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어업생산 기반 구축 및 어업인 소득증대 도모
(1월~2월) 기본계획수립(해수부)
(2월) 사업대행계약 체결, 시행계획 수립 및 사업비 교부 신청(해수부↔공단)
(2월) 시행계획 승인 및 사업비 교부(해수부)
(3월) 관리정책 업무협의회 개최(해수부 외 관계기관)
(3월) 사업대상지 우선순위 결정(해수부, 공단 및 관계기관)
(3월~4월) 기본조사 및 실시설계 추진(공단)
(5월) 설계결과 보고(공단)
(6월~11월) 유실·침적어구 수거·처리 및 교육·홍보 실시(공단)
(12월~익년 1월) 사업결과 및 정산보고(공단)
(익년 1월) 사업결과 검토 및 승인(해수부)
연안어장 환경개선 기본계획 수립(해양수산부)
자치단체, 어업인 관련 단체 수요조사 결과 등 의견수렴
지방자치단체 수요조사
연근해 주요어장 현황 및 유실·침적어구 조사
기 수행사업 현황조사
연근해 유실·침적어구 분포 실태조사 및 모니터링 연구용역
유실 침적어구 다량 발생해역 파악
유실 침적어구 분포도 작성결과 활용
사업대상지 및 우선순위 결정 (해양수산부, 사업시행주체 관련기관 전문가 등)
사업대상지 선정 협의회 개최를 통한 대상지 결정
연안어장 환경개선사업, 해양폐기물 점화사업 대상지 중복 방지
기본계획에 따른 세부추진계획 보고 (대상지 선정결과 포함)
세부추진계획 보고 및 기본조사 및 실사설계(사업시행주체)
당해연도 사업해역에 대한 실시설계 시행
시방서 등 실시설계서 작성
용역발주 및 사업자 선정(사업시행주체)
용역발주(조달청) : 경쟁입찰
분포도 현행화 기초자료 표본조사 사업자 선정
유실·침적어구 수거처리 사업자 선정
교육·홍보 및 수혜자 만족도 조사 사업자 선정
감독 및 현장관리(사업시행주체)
현장점검 실시
교육·홍보 추진현황 점검
분기별 사업실적보고
사업진행 현황보고
기성 및 준공검사결과통지
폐기물 처리 기록(Allbaro시스템)
유실·침적어구 수거사업 및 교육·홍보 시행 (사업자)
현장작업 시행 (폐기물 수거선)
작업일지 작성
정기적인 공정보고 실시
사업 기성 및 준공검사 요청
교육·홍보 추진
환류활동(사업자)
권역별 표본조사 실시 및 분석
수혜자 만족도조사 실시
분포도 현행화 자료 및 현안사항 종합 수렴하여 현행화 추진
준공공사 및 대가 지급(사업시행주체)
각 용역업체 준공검사 실시
검사 결과에 따라 용역 대가 지급
최종 결과 및 정산 보고(사업시행주체)
당해연도 결과 보고 및 사업비 정산 등
연안어장 생산성 개선 등 수산자원관리 교육·홍보
수산자원 중요성에 대한 교육·홍보를 통해 민간 중심의 수산자원 관리 자발적 참여 유도
관리정책 업무협의회 추진
상반기 업무협의회 추진으로 수산자원 회복정책 발전방향 모색, 수거․처리사업 효율화 도모
유실·침적어구 등 침적폐기물의 수거·처리
사업대상지 선정 협의회를 개최하여 사업지 중복여부에 대한 교차검토 후 사업대상지 및 우선순위 결정
기본조사 및 실시설계 추진, 차년도 상반기 수거 필요지역 사전 조사·설계 추진
유실·침적어구 수거·처리작업
표본조사 실시
과학적인 사업효과 분석을 위한 어장 기초생산력 등 기초자료 수집
침적폐기물 분포도 현행화
조사 및 설계결과, 수거사업 시행결과를 활용한 연근해 침적폐기물 분포도 현행화 추진
사업 만족도 조사
사업 수혜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한 사업 만족도 분석 및 개선·발전방안 도출
구분 | 사업대상지역(개소) | 침적폐기물 수거면적(ha) | 침적폐기물 수거량(톤) | 사업비(백만원) |
---|---|---|---|---|
2009년 | 12 | - | 1,939 | 6,283 |
2010년 | 14 | - | 1,579 | 5,157 |
2011년 | 23 | - | 1,875 | 5,250 |
2012년 | 26 | - | 2,120 | 6,723 |
2013년 | 24 | 75,829 | 1,832 | 5,200 |
2014년 | 19 | 78,991 | 1,832 | 5200 |
2015년 | 23 | 82,153 | 1,813 | 5200 |
2016년 | 22 | 85,486 | 1,888 | 5,200 |
2017년 | 28 | 99,284 | 2,180 | 7,200 |
2018년 | 34 | 135,980 | 2,219 | 7,900 |
2019년 | 31 | 105,044 | 2,273 | 7,870 |
2020년 | 51 |
151,134 | 2,650 | 9,454 |
2021년 | 42 |
175,215 | 3,721 | 12,102 |
합계 | 349 | 989,116 | 27,921 | 88,739 |
19년도 인천 연평도
20년도 강원 고성군